평가제도 운영 및 개선
평가자 교육을 통한 '부하육성과 동기 부여'를 위한 트레이닝

교육기대효과
- 평가의 원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합니다.
- 자신의 평가 경향을 이해하고, 평가자 간 상이한 시각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.
- 부하의 동기 부여 포인트와 인사평가의 활용방법에 대한 이해를 촉진합니다.
- 부하의 납득을 높이고,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면담 스킬을 습득합니다.
교육 내용 및 특징
평가 운영 상 일어나기 쉬운 문제에 맞춰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합니다.
평가 기초 편 외에 평가의 레벨, 피드백 면담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합니다.
-
평가의 원칙, 룰의 이해
-
평가 실습 (케이스를 활용한 모의 평가)
-
부하 육성과 동기부여
-
평가 면담 롤플레잉
목표 모니터링
기입된 목표 시트를 BCK 컨설턴트가 모니터링/첨삭하여, 목표 설정상의 경향과 과제점을 파악합니다.
목표 제도 운영 상의 문제점과 함께 제도 면에서 변경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합니다.
교육 기대효과
-
목표 관리의 일반적 이론보다는 구체적인 해결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
목표 작성 방법 및 설정에 대한 인식의 갭을 확인하고 지향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.
-
조직의 상위방침(비전,미션,전략)의 침투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
특정 종류의 과제나 제도 설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정화 할 수 있습니다.
교육 내용
-
목표 설정의 요지인 목표 과제 「무엇을」, 성취 수준 「언제까지」 「얼마나」, 달성 수단 「어떻게」 등이 적절하게 기술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-
각 평가자가 피 평가자에 대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피드백 코멘트를 작성합니다.
운영 가이드북 작성
실무에 기반한 운영 가이드북을 활용함으로써 평가자 및 피 평가자의 제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, 매니지먼트와 인재 육성의 실천으로 연계합니다.
교육 기대효과
-
인사 제도의 목적, 원리, 규칙을 작성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-
적정한 목표 설정 및 목표 기술서 작성이 가능해집니다.
-
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지침 작성 및 평가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-
면담 포인트와 시나리오를 공유하고 면담의 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.
교육 내용
-
인사 제도의 개요
-
평가 시 유의점
-
목표 설정의 포인트
-
부하 육성의 개념
-
면담 시의 포인트
-
인사 제도 Q&A
평가자 미팅
평가 과제를 바탕으로 인사 제도의 목적 및 인재상에 대한 인식 공유를 도모합니다.
토론을 통해서 바람직한 평가 방법과 평가자 의식 개선을 도모합니다.
교육 기대효과
-
평가 결과의 경향을 공유함으로써 평가자 간 인식을 확인하고 서로에게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.
-
평가자들이 서로 마음을 열고 피드백을 하고 이해할 수 있는 풍토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.
교육 내용
-
평가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, 부문/부서 등의 전체적인 평가 분포 동향 및 각 계층의 분포 경향을 파악합니다.
-
미팅을 통해 추세를 파악하고 공유함으로써, 운영 상의 과제와 실무 상 발생하는 개선점을 명확히 합니다.
-
제도의 본 의도와 목적, 평가받을 인재/ 행동에 대해 토론하여 각 부문의 평가자의 인식 공유를 수행합니다.